본문 바로가기
일상 잡지식

[연말정산] 근로소득공제란 무엇인가?

by pil0917 2025. 1. 27.
반응형

근로소득공제

 

근로소득공제는 총급여 (연간 근로소득에서 비과세소득을 차감한 금액)에서 일정 금액을 빼주는 제도예요.

이를 통해 근로자들이 부담해야 할 세금을 줄여주는 효과가 있죠.

초보자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나씩 차근차근 설명해볼게요.

 

근로소득공제란??

 

  • 근로소득자(월급 받는 사람들)가 소득세를 계산할 때 소득에서 일정 금액을 공제해주는 제도예요.
  • 공제란 쉽게 말해 세금을 매길 때 기준이 되는 소득(과세표준)을 줄여주는 것을 뜻해요.
  • 근로소득공제를 통해 근로자의 세금 부담이 줄어들어요.

 

근로소득공제가 적용되는 이유

 

  • 근로자의 생계를 지원하기 위해:
    • 직장인은 소득을 얻기 위해 교통비, 식비, 기타 생활비를 지출해야 하죠.
    • 이런 필수 비용을 감안해 일정 금액을 공제해주는 거예요.
  • 세금 부담의 형평성을 맞추기 위해:
    • 연봉이 높을수록 공제율이 낮아지기 때문에, 저소득 근로자가 상대적으로 더 많은 혜택을 받을 수 있어요.

 

근로소득공제 계산 방법

근로소득공제는 **연봉(총급여)**에 따라 차등 적용돼요. 

총급여(연봉) 공제액 계산 공식
500만원 이하 총 급여 × 70%  
500만원 초과 1,500만원 이하 350만 원 + (총급여 - 500만 원) × 40%
1,500만원 초과 4,500만원 이하 750만원 + (총급여액 - 1,500만원) × 15%
4,500만원 초과 1억원 이하 1,200만원 + (총급여액 - 4,500만원) × 5%
1억원 초과 1,475만원 + (총급여액 - 1억원) × 2%

 

 

 

예시로 이해하기

예시 1: 연봉 4,000만원인 근로자

  1. 총급여: 4,000만원.
  2. 공제 계산: 750만원 + (4,000만원-1,500만원) x 15% = 1,125만원
  3. 근로소득공제액: 1,125만원.

예시 2: 연봉 8,000만원인 근로자

  1. 총급여: 8,000만원
  2. 공제 계산: 1,2500만원 + (8,000만원 - 4,500만원) x 5% = 1,425만원
  3. 근로소득공제액: 1,425만 원.

예시 3: 연봉 2억원인 근로자

  1. 총급여: 2억원.
  2. 공제 계산: 1,475만원 + (2억원 - 1억원) x 2% = 1,675만원
  3. 근로소득공제액: 1,675만원

예시 4: 연봉 5억원인 근로자

  1. 총급여: 5억원.
  2. 공제 계산: 1,475만원 + (5억원 - 1억원) x 2% = 2,275만원이나 최대 공제 한도 초과
  3. 최대 공제 한도 초과: 공제 한도는 2,000만 원으로 제한.
  4. 근로소득공제액: 2,000만원

 

근로소득공제 후에는??

 

  • 총급여에서 근로소득공제를 뺀 금액을 근로소득금액이라고 해요.
  • 근로소득금액에서 추가적인 소득공제(인적공제, 연금보험료 공제 등)를 적용하면 과세표준이 나오고, 이 금액을 기준으로 세금을 계산해요.

 

근로소득공제의 특징

 

  • 저소득 근로자에게 유리: 총급여가 낮을수록 공제율(70%)이 높아서 세금 부담이 더 줄어듭니다.
  • 고소득 근로자에게 제한적: 연봉이 높아질수록 공제율이 낮아지고, 최대 공제 한도(2,000만 원)가 적용됩니다.

 


 

마치며, 근로소득공제는 직장인의 세금 부담을 덜어주는 중요한 제도예요.

연말정산에 대해 하나씩 알아보면 앞으로 연말정산하는데 어려움이 덜할거에요.

제 포스팅을 보고 도움이 되셨다면 좋겠네요~

 

반응형